spain south korea banner image game

누구나 알고 있어야 할 일곱 명의 한국 e스포츠 플레이어들

전 세계에 걸쳐 게임에 최선을 다하는데 열정을 바치는 플레이어들이 많이 있다. 어떤 선수들은 재미를 위해 경기를 하는 한편 어떤 선수들은 권위 있는 토너먼트에 진출하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 점차 플레이어들이 게임 업계에서 엄연한 전문종목 선수로 간주됨에 따라 e스포츠 현장은 더욱 번창하고 있다.

다수의 국가들은 다양한 게임 장르에 걸쳐 뛰어난 플레이어들을 많이 배출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몇몇 팀들의 면모를 살펴보면 일부 국가 출신의 플레이어들이 세계 무대에서 두각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알게 될 것이다. e스포츠 분야에서 단연 두각을 나타내는 나라는 다름아닌 한국이다.

한국 선수와 팀들은 일반적으로 스포츠벳 같은 온라인 스포츠북에 게재되어 베팅 할 수 있는 승률을 쉽게 볼 수 있다. 일반 또는 비트코인 스포츠 베팅에 참여함으로써, 도박꾼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선수나 팀을 응원하면서 흥미로운 경험을 할 수 있다. 몇몇 한국 팀의 우승 덕택으로 일부 선수들은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다음은 그들 중 일부에 해당된다.

페이커 – 이상혁(리그 오브 레전드)

이상혁 또는 페이커(Faker)는 한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e스포츠 선수로 꼽힌다. 이상혁은 현재 T1의 미드 라이너로 뛰고 있다. 그는 세계 선수권 대회(2013, 2015, 2016년) 세 차례 우승과 미드시즌 인비테이셔널(2016, 2017년) 두 차례 우승, LCK 및 챔피언스 코리아 타이틀 9차례 우승이라는 대업을 달성했다. 그는 또한 LCK에서 600승을 거둔 최초의 선수이기도 하다. 그의 높은 평판 덕택으로 그는 한국 팬들로부터 ‘불사대마왕’으로 불리기도 한다.

2013년 SK텔레콤 소속 구단에서 그를 중심으로 미드 라인에서 팀 구성을 위해 솔로 대기열에서 제외되면서 뛰기 시작했다. 그는 그 이후로 먼 길을 헤쳐왔으며 오늘날 한국에서 가장 높은 수입을 올리는 e스포츠 선수이자 리그에서 경쟁력이 가장 높은 선수로 꼽히고 있다.

듀크 – 이호성(리그 오브 레전드)

또 다른 LoL 톱 플레이어는 2016년 인빅터스 게임 팀의 탑 라이너가 된 듀크(Duke)이다. 그는 과거 시즌 3 동안 KT 롤스터 불렛스(KT Rolster Bullets)에 처음 합류했을 당시인 2014 시즌 중에 레퍼드(Leopard)로 알려졌었다. 그러다가 몇 달이 지나지 않아 유저네임을 듀크로 변경했다.

그는 이제 활성 LoL 플레이어가 아니지만 이 게임 역대 플레이어들 가운데 가장 성공적인 플레이어로 알려져 있다. 듀크는 2개 후원사와 2개 지역에서 플레이 하면서 두 차례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을 거둔 유일한 선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그는 SK Telecom T1으로 2015년 월드 챔피언십에서 우승했고 인빅터스 게이밍 소속으로 2018년 월드 챔피언십에서 우승을 거머쥐었다.

로키 – 박정영(PUBG)

이 한국 출신의 PUBG 플레이어는 이전에 Gen G와 함께 뛰었던 선발 플레이어이다. 그는 3년 동안 Gen G와 함께한 후 그들과 결별하고 DWG KIA 팀 또는 담원 팀으로 이적했다.

그는 PUBG에서 가장 많은 상금을 획득한 기록을 보유한 선수이기도 하다. 그는 2018년 PUBG 글로벌 인비테이셔널에서 우승한 후 이미 여러 차례 3위를 차지한 바 있다. 그 외에도 2019년 MET 아시아 시리즈를 석권하기도 했다. 지금까지 그는 95만7023달러의 수입을 올렸다.

제스처 – 홍재희(오버워치)

제스처(Gesture)는 최근 서울 다이너스티에서 활약한 메인 탱커로 오버워치에서 가장 높은 인기를 끌었던 선수이다. 그는 거의 6년에 가까운 프로 경력을 통틀어 히어로 윈스턴, 오리사, 로드호그를 어떻게 플레이 하는지에 대해 기준을 재정립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금년 4월 다섯 번째 시즌이 시작되기 직전에 프로 무대에서 은퇴했다.

그는 런던 스핏파이어(London Spitfire)의 첫 두 시즌 동안 가장 높은 인기를 끌었다. 이 대회에서 그는 DPS의 메인 탱커로 활약하여 팀의 페이스를 결정하는 역할을 맡았다. 그는 또한 해당 리그의 첫 시즌 동안 팀 승리의 핵심 부분을 담당하기도 했다.

짝 – 시창훈(펜타스톰)

짝(JJak)은 KOG 다이아몬드 코브라와 탈론 e스포츠(Talon Esports) 등 팀의 전 멤버이다. 펜타스톰 플레이어로서 그는 이미 펜타스톰 프레미어 리그(PSPL) 섬머 2017, 가레나 챌린저 시리즈(GCS) 섬머2018, RoV 프로리그 시즌 3 2019 등 3개 리그에 걸쳐 챔피언십을 따내는 기염을 토했다. 그는 또한 펜타스톰 월드컵 2021 그룹 스테이지에서 팀 3 스타즈의 코치로도 일한 바 있다.

최근에 그는 리그 오브 레전드 : 와일드 리프트로 옮겨가기로 결정하기도 했다.

마치 – 박태원(도타 2)

마치(March)는 한국계 캐나다인 프로 도타 2 선수로서 현재 T1의 코치로 활약하고 있다. 도타 2 플레이어가 되기 전 그는 2009년부터 2010년까지 북미주에서 주목할만한 도타 플레이어로 알려져 있었다. 그로부터 몇 년 후 그는 FX오픈 e스포츠와 계약하면서 도타 2 세계에 발을 들여놓았다.

그는 MDL 청두(成都)에서 개최된 도타 2 메이저 대회에서 TNC 프레데터 팀 주장을 맡으면서 2021년에 다시 본격 선수 활동을 재기했다. 그러나 같은 해 9월에 다른 길을 가고 싶다는 이유로 팀 명단에서 제외되었고 10월부터 그는 T1에서 코치로서 활동을 시작했다.

문 – 장재호(워크래프트 III/스타크래프트 II)

장재호는 전략 게임, 특히 워크래프트 III를 전문으로 하는 프로 선수이다. 그는 발군의 실력으로 세계 최고의 나이트 엘프 선수로 인정받고 있다. 그는 또한 TV로 방영된 한국 워크래프트 III 챔피언십 대회에서 3 차례나 우승하고 도합 5 차례의 세계 챔피언이기도 하다. 그는 세계의 어떤 플레이어보다 TV 방영 워크래프트 III 게임에서 많은 우승을 차지한 선수이다. 중도에 그는 워크래프트를 중단했지만 2015년 말 군 복무를 마친 뒤 프로로 복귀했다.

그는 워크래프트 III 외에도 또 다른 블리자드 제작 게임인 스타크래프트 II를 전문으로 하고 있다. 지난 2012년에는 프나틱(Fnatic)과 함께 스타크래프트 II를 풀타임으로 플레이 하기도 했다. 같은 해 말 그는 팀과 결별했다. 지금까지 그의 대략적인 총 수입은 스타크래프트 II의 경우 2만6000달러, 워크래프트 III의 경우60만달러 이상이다.

이들은 스포츠벳 같은 온라인 마권업자들에게 파장을 일으키고 있는 한국 최고의 e스포츠 선수들 중 극히 일부에 해당된다. 이들 팀에 대해 더 많이 이해하고 비트코인 스포츠 베팅을 통해 응원함으로써 e스포츠 팬들은 이 선수들이 얼마나 높은 기량을 갖추고 있는지 잘 알게 될 것이다.

답글 남기기